제 19강의
1. 신경증 치료 과정에서의 저항
1) 환자의 치료 저항 현상
- 신경증 환자들은 자신의 증상으로 인해 고통받으면서도 무의식적으로 치료를 거부하는 태도를 보입니다.
- 이는 단순한 비협조적인 태도가 아니라, 자신을 보호하려는 방어 기제에서 비롯됩니다.
2) 저항의 다양한 형태
- 연상 과정에서 특정 기억을 배제
- 특정 기억이 불쾌하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이야기하지 않으려 합니다.
- 예: "이건 사소한 일이라서 말할 필요가 없어요."
- 침묵하거나 생각이 많아 혼란스럽다고 주장
- "아무 생각도 나지 않는다." 혹은 "너무 많은 생각이 떠올라 정리가 되지 않는다."
- 자신과 무관한 이야기로 분석을 방해
- 강박 신경증 환자는 분석이 진행되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 연상을 엉뚱한 방향으로 돌립니다.
- 예: "이건 제 이야기가 아니라 다른 사람의 이야기예요."
- 논리적인 반박을 통한 지적 저항
- 분석 과정에서 제시된 이론에 대해 논리적으로 반박하며 부정하려 합니다.
- 예: "정신분석이 정말 효과가 있는지 확신할 수 없어요."
- 의사에게 감정적 전이를 일으켜 치료를 방해
- 치료자에게 강한 감정(애정 또는 적대감)을 투사하여 분석의 본질적인 문제를 회피하려 합니다.
3) 저항 극복을 위한 정신분석적 접근
- 환자가 저항하고 있음을 스스로 인식하도록 돕는 것이 치료의 첫 단계입니다.
- 연상 과정에서 배제한 내용, 침묵, 논리적 반박, 감정적 전이 등의 패턴을 분석하여 환자가 무의식적으로 억압한 감정을 자각하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2. 억압과 신경증의 형성
1) 억압의 개념과 작동 방식
- 신경증 증상은 의식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무의식적 감정과 욕구가 억압되면서 나타납니다.
- 억압된 감정은 단순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변형된 형태(강박행위, 히스테리 증상 등)로 표출됩니다.
2) 억압과 신경증 증상의 관계
- 억압된 무의식적 감정이 왜곡된 방식으로 신경증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 예: 어린 시절 부모에게 사랑받고 싶었던 욕망이 억압되면, 성인이 되어 과도한 애정 요구나 관계 회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치료 과정에서 환자가 억압된 감정을 떠올리려 하면 강한 저항이 발생합니다.
3. 무의식과 치료 과정에서의 저항
1) 무의식의 구조와 저항의 관계
- 정신 구조의 세 가지 영역:
- 무의식(Unconscious): 억압된 감정과 욕구가 저장된 영역
- 전의식(Preconscious): 무의식과 의식 사이의 영역
- 의식(Conscious): 현재 자각할 수 있는 생각과 감정
- 무의식적 감정이 의식으로 떠오르려 하면 환자는 강한 저항을 보입니다.
2) 최면과 정신분석의 차이
- 초기 치료에서는 최면을 사용했으나, 환자가 저항을 경험하지 않아 무의식적 억압을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 정신분석적 접근은 환자가 저항을 경험하고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치료를 진행합니다.
4. 신경증 증상의 의미와 저항의 본질
1) 신경증 증상의 의미
- 신경증 증상은 환자의 억압된 욕구를 대체하는 역할을 합니다.
- 환자는 현실에서 해결할 수 없는 내면의 갈등을 증상이라는 형태로 표현하여 무의식적으로 균형을 유지하려 합니다.
2) 신경증 환자의 현실 회피와 저항
- 신경증 환자는 현실과의 갈등을 피하려 하며, 치료 과정에서 자신의 내면 갈등을 인식하게 되면 강한 저항을 나타냅니다.
5. 신경증의 종류와 관련 저항 방식
1) 불안 히스테리 (Anxiety Hysteria)
- 관련 저항 방식: 치료 자체에 대한 저항, 침묵, 전이 저항
- 특징: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병적인 공포
- 예: 치료자가 환자의 불안을 직면하도록 유도하면 환자는 치료를 거부하거나 침묵합니다.
2) 전환 히스테리 (Conversion Hysteria)
- 관련 저항 방식: 연상 과정에서의 저항, 침묵, 외부 요인 이용
- 특징: 심리적 갈등이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남(예: 마비, 실어증)
- 예: "저는 예전에 이런 일을 겪은 적이 없어요. 도대체 뭘 말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3) 강박 신경증 (Obsessive-Compulsive Neurosis)
- 관련 저항 방식: 논리적 반박, 강박적인 회의, 외부 요인 이용
- 특징: 반복적인 생각과 행동(강박 사고 및 강박 행위)
- 예: "분석 내용이 맞다고 해도, 저는 사실 믿지 않아요. 제가 믿지 않는 이상 치료 효과도 없겠죠."
4) 전이 신경증 (Transference Neurosis)
- 관련 저항 방식: 전이 저항, 치료 자체에 대한 저항, 지적 논쟁
- 특징: 환자가 치료자에게 부모와 같은 감정을 투사
- 예: "선생님은 제 아버지와 똑같아요. 저를 통제하려고만 하시네요."
5) 공통적인 저항 방식 (모든 신경증에서 나타남)
- 침묵을 통한 저항 - 내면을 드러내는 것이 불편해서 치료 도중 말을 멈춤.
- 연상 과정에서의 저항 - 무의식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을 억제하고 "이건 중요하지 않아요"라고 말함.
- 외부 요인을 이용한 저항 - 치료를 지속하지 못하는 이유를 외부 탓으로 돌림.
6. 신경증 치료에서 저항을 극복하는 방법
1) 정신분석적 치료의 목표
- 무의식적으로 억압된 감정을 의식의 영역으로 끌어올리는 것입니다.
- 환자가 자신의 내면 갈등을 자각하고 건강한 방식으로 해결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2) 저항을 극복하는 과정
- 환자는 무의식적 갈등을 직면하려 할 때 강한 저항을 경험합니다.
- 치료자는 환자가 저항을 인식하고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3) 증상의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
- 자유연상을 통해 환자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유도합니다.
- 꿈 분석 등을 활용하여 무의식의 단서를 찾아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