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신분석강의-프로이트-9

by Ang ga 2024. 12. 21.

제 9강의

 

1. 꿈의 본질: 소원 성취와 꿈-왜곡

 

꿈은 소원 성취를 목적으로 생성됩니다. 어린이의 단순한 소망이 그대로 드러나는 꿈과는 달리, 성인의 꿈은 강한 왜곡 과정을 거칩니다. 이 왜곡은 무의식에 존재하는 충동적 소원들이 검열에 의해 억압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2. 꿈-검열과 그 작용

 

꿈-검열은 꿈의 내용을 억압하거나 변형시키는 과정을 통해 왜곡을 발생시킵니다. 이는 검열관처럼 작용하여 윤리적, 미적, 사회적으로 용인되지 않는 소원을 억누릅니다. 검열로 인해 꿈 속에서는 다음과 같은 현상이 나타납니다:

 

  • 내용의 공백: 중요한 부분이 웅성거림 등으로 은폐됩니다.
  • 내용의 수정: 불편하거나 금기된 내용이 완화되거나 대체됩니다.
  • 내용의 재배치(전위): 잠재적 꿈의 핵심이 외현적 꿈에서 다른 요소로 바뀝니다. 꿈의 중요도가 낮은 요소가 강조되면서 주요 내용이 왜곡됩니다.

 

검열은 꿈의 왜곡을 낳으며, 그 강도는 억압된 소원의 금기 수준과 검열의 엄격성에 비례합니다.


 

3. 꿈의 사례: "자원봉사" 꿈

 

1. 병원 방문과 의문의 요청


꿈에서 50세의 부인은 제1 육군 병원으로 가서 "자원봉사를 하고 싶다"고 말합니다. 그녀는 병원장의 이름을 언급하지만, 자신도 그 이름이 정확한지 확신하지 못합니다. 이때 하급 장교는 그녀의 의도를 이해하고 망설이다가 병원으로 들어가는 것을 허락합니다. 하지만 병원장에게 직접 가지 않고, 그녀는 군의관들과 장교들이 있는 커다란 음산한 방에 들어갑니다.

 

2. 군의관과의 대화

 

그 방에서 그녀는 자신이 작성한 신청서를 선임 군의관에게 제출합니다. 군의관이 신청서를 검토하는 동안, 부인은 군인들에게 다가가 자신과 다른 많은 부인 및 처녀들이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그녀는 군인들의 육체적,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헌신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내용을 전하지만, 바로 이 순간 방 안에 웅성거림이 퍼지며 장교들과 군의관들이 놀랍고 음흉한 표정을 짓습니다.

 

3. 자신감과 조건부 발언

 

부인은 분위기를 인식하지 못한 채 계속해서 말합니다. "이 결정은 매우 비장하지만, 전투에 나가는 군인들에게 죽을 각오가 되어 있는지 물어보지 않듯이 저희의 의사도 묻지 말아야 합니다." 이 말 뒤에 다시 방 안은 침묵에 휩싸입니다. 선임 군의관은 부인의 허리에 팔을 두르며 그녀의 결단에 감사를 표합니다. 하지만 그녀는 그의 행동을 의식하며 팔을 풀어내고 "저는 나이 든 여자입니다. 그렇기에 제가 이 일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젊은 남자와 나이 많은 여자가 함께라면 정말 끔찍한 일이겠지요"라고 덧붙입니다. 이 발언 이후 다시 방 안에는 웅성거림이 들립니다.

 

4. 병원장에 대한 요구와 계단

 

이후 부인은 상황을 마무리하고 병원장과 직접 면담하고 싶다고 요청합니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병원장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당혹스러워합니다. 선임 군의관은 그녀를 정중하게 안내하며 병원의 2층으로 가는 좁고 나선형 철 계단을 알려줍니다.

 

5. 계단 위의 경의와 끝없는 여정

 

부인이 철 계단을 올라가는 동안, 한 장교가 "정말 대단한 결심입니다. 나이와 상관없이 경의를 표합니다!"라고 외칩니다. 부인은 자신이 의무를 다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으며 계단을 오르지만, 꿈 속에서 끝없는 계단이 계속 이어집니다.


 

4. 꿈의 상징성과 핵심 내용 요약

 

1. "자원봉사"의 은유적 의미

 

부인의 요청은 애국적 의무를 수행하려는 고귀한 의지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사회적으로 금기된 육체적 욕망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그녀가 군인들과 장교들에게 자신을 "준비된 상태"로 표현하는 장면은 리비도적 공상을 암시합니다.

 

2. 웅성거림과 공백의 역할

 

꿈의 중요한 부분이 웅성거림으로 대체된 것은, 이러한 금기된 욕망이 검열로 인해 억압되고 드러나지 못했음을 나타냅니다. 검열로 인해 이야기가 공백 상태로 남아 있지만, 이를 통해 꿈의 이면에 있는 무의식적 충동을 암시합니다.

 

3. 나이에 대한 언급과 갈등

 

부인이 나이를 강조하며 자신이 이 일에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한 부분은 그녀의 내적 갈등을 드러냅니다. 젊은 남성과 나이 든 여성이 함께하는 상황에 대한 거부감을 표명하면서도 그 속에는 무의식적으로 억눌린 소원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4. 끝없는 계단과 의무감

 

철 계단을 끝없이 오르는 장면은 그녀가 무의식적으로 느끼는 사회적 책임감과 의무, 그리고 억압된 소원이 충돌하면서 나타난 상징적 이미지로 해석됩니다.


 

5. 꿈의 왜곡과 무의식

 

왜곡된 꿈은 억압된 무의식적 소원을 반영합니다.

  • 이러한 소원은 깨어 있는 자아의 윤리적 기준과 충돌하여 억압됩니다.
  • 성 본능이나 적대적 감정, 근친상간적 욕망 등 사회적으로 용납되지 않는 충동이 꿈-왜곡의 주요 원인입니다.
  • 꿈은 이러한 금기된 소원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으며, 검열로 인해 변형된 방식으로 나타냅니다.

 

6. 꿈-왜곡의 목적: 수면 유지

 

꿈의 왜곡은 단순히 억압된 소원을 숨기기 위한 것이 아니라, 수면을 방해하지 않고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합니다.

  • 꿈-검열은 불쾌한 충동이 수면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어합니다.
  • 꿈은 소원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깨어 있는 자아와 충돌하지 않는 방식으로 무의식을 표현합니다.

 

7. 꿈과 현실의 충돌: 해석에 대한 거부

 

꿈꾼 사람은 자신의 꿈에 대한 해석을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 꿈 해석은 무의식적 소원을 의식적으로 드러내는 과정이므로 불편함을 유발합니다.
  • 해석 결과가 깨어 있는 자아의 가치관과 충돌하면, 본능적으로 거부하게 됩니다.
  • 이는 무의식적 경향이 의식과 병렬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8. 꿈에 대한 도전과 반론

 

꿈-해석의 결론이 불쾌하고 거부감이 들더라도, 이는 과학적 탐구 과정의 일부입니다.

  • 인간 본성의 복잡성을 인정하고, 선과 악의 대립적 경향이 공존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 세계 대전과 같은 사회적 현상도 인간 본성의 어두운 측면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9. 꿈-왜곡과 무의식의 새로운 이해

 

꿈-왜곡은 검열의 결과로, 무의식적 소원이 자아의 윤리적 경향에 의해 억압된 것입니다.

  • 무의식적 소원은 단순히 당시 억압된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무의식 상태에 머물러 있습니다.
  • 이러한 무의식적 소원의 존재는 꿈뿐만 아니라, 실수 행위와 같은 일상적 행동에서도 나타납니다.

 

10. 결론: 꿈 연구의 의의

 

꿈은 단순히 비현실적 환상이 아니라, 무의식과 자아 간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심리적 현상입니다.

  • 꿈-왜곡은 억압된 소원을 수면 중에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입니다.
  • 꿈을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무의식적 본성과 심리적 갈등을 더 깊이 탐구할 수 있습니다.
  • 꿈-검열과 왜곡은 인간의 복합적 본성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