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신분석강의-프로이트-2

by Ang ga 2024. 11. 29.

제 2강의

 

1. 실수 행위의 정의와 범주

 

실수 행위란 인간이 의도한 바와는 다른 행동이나 표현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일상에서 흔히 경험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정신분석학에서는 이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아 다양한 실수 행위를 분류하고 분석합니다.

 

주요 유형으로는 다음이 있습니다:

  • 잘못 말하기: 의도한 것과 다른 단어를 발음하는 경우.
  • 잘못 쓰기와 읽기: 글을 잘못 쓰거나, 문서를 다르게 읽는 경우.
  • 망각: 이름, 일정 등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잊는 것.
  • 잘못 놓기와 분실: 물건을 잘못 두거나 잃어버리는 행위.
  • 착각: 사실로 믿었던 내용이 틀린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

이러한 현상들은 일반적으로 사소하고 중요하지 않게 여겨지며, 대부분 일상적인 감정적 동요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2. 사소한 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 이유

 

실수 행위는 일견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정신분석학은 이러한 사소한 현상이 더 큰 심리적, 정신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1. 사소한 징후의 중요성
    작은 단서에서 중요한 사실을 발견하는 것은 범죄 수사나 인간관계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일입니다. 따라서 실수 행위와 같은 작은 현상을 분석하면 심리적 본질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2. 연구 접근성
    큰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는 시작 지점을 설정하기 어렵습니다. 반면, 사소한 문제를 면밀히 조사하면 더 복잡한 문제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이 열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3. 실수 행위에 대한 기존 설명: 생리학적 요인

 

우리는 종종 실수 행위를 생리학적 요인으로 설명합니다. 주의력 부족, 피로, 흥분 상태 등이 실수 행위를 유발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 주의력 분산: 피로, 집중력 저하, 흥분 상태 등이 정상적인 심리적 기능을 방해한다는 주장.
  • 기계적 수행의 오류: 자동화된 행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실수.
  • 생리적 장애: 편두통이나 혈류 변화가 심리적 오류를 초래할 수 있음.

그러나 이 설명은 모든 실수 행위를 포괄하지 못합니다. 정상 상태에 있는 사람에게도 실수 행위가 발생하며, 생리적 요인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4. 실수 행위에 내재된 심리적 의미

 

정신분석학은 실수 행위가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심리적 의미를 내포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잘못 말하기, 잘못 쓰기 등은 때로는 의도와 무관하게 개인의 무의식을 드러내는 행동일 수 있습니다.

  • 의도와 반대되는 표현
    한 여인이 상대방의 모자를 칭찬하려다 "이 멋진 새 모자가 아주 어울리지 않는다"고 말실수를 한 경우, 그녀의 무의식적 평가가 말실수를 통해 드러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말실수는 개인의 감정과 태도를 무의식적으로 표현하는 심리적 행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언어적 연상의 영향
    음운, 언어적 유사성, 그리고 무의식적 연상 작용이 잘못 말하기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 사회적 맥락에서의 실수
    특정 사회적 상황에서 무심코 나온 실수는 개인의 숨겨진 의도를 드러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회의장이 "회의 개회" 대신 "폐회"를 선언한 사례는 그의 내면적 소망(이대로 빨리 마치기를 바라는 소망)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5. 문학적 사례: 시인의 활용

 

실수 행위는 문학에서도 종종 의도적으로 사용됩니다. 시인과 작가는 실수 행위를 심리적 갈등이나 무의식적 욕망을 드러내는 도구로 활용합니다.

  • 발렌슈타인의 사례
    극 중 인물이 "그에게"라는 말을 "그녀에게"라고 잘못 말한 사례는 무의식적으로 여성에 대한 숨겨진 애정을 암시합니다.
  •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포샤가 바사니오에게 "내 것이라면 그것은 당신의 것"이라고 잘못 말한 장면은, 그녀가 뽑기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느끼는 불안과 내면적 갈등을 보여줍니다. 이 잘못 말하기는 그녀가 이미 바사니오를 사랑하고 있음을 무의식적으로 표현하며, 선택의 결과를 앞두고 있는 심리적 긴장감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냅니다.
  • 리히텐베르크의 사례
    리히텐베르크는 자신이 "만약(angennomen)"이라는 단어를 자주 "아가멤논(Agamemnon)"으로 잘못 읽는다고 적었습니다. 이는 그가 호메로스의 작품을 반복적으로 접하면서 생긴 무의식적 연상 작용의 결과로 해석됩니다.

결론: 실수 행위의 심리적 중요성

실수 행위는 단순한 오류로 치부되기 쉽지만, 심리적 의미를 내포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 실수는 무의식적 갈등, 억압된 욕망, 또는 심리적 상태를 드러낼 수 있는 매개체입니다.
  • 생리학적 요인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실수 행위는 심리학적 연구를 통해 더 깊이 이해될 수 있습니다.
  • 문학적 사례는 실수 행위가 무의식을 표현하는 중요한 도구임을 보여줍니다.

정신분석학은 실수 행위를 통해 인간 심리의 복잡성과 무의식을 탐구하며, 이를 통해 더 큰 심리적, 사회적 문제를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갑니다.